출생 체중 1,500g 미만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meconium obstruction의 비수술적 치료 결과

출생 체중 1,500g 미만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meconium obstruction의 비수술적 치료 결과

nonsurgical treatment of meconium obstruc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

(포스터):
Release Date : 2009. 10. 23(금)
Kim Yoon Joo, Son Se Hyung, Eun Hee Lee, Jin A Sohn, Eun Jin Choi, Eun Sun Kim, Hyun Ju Lee, Jin A Lee, Chang Won Choi, Ee-Kyung Kim, Han-Suk Kim, Byeong Il Kim, Jung-Hwan Choi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김윤주, 손세형, 손진아, 이은희, 최은진, 김은선, 이현주, 이진아, 최창원, 김이경, 김한석, 김병일, 최중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목적: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태변 배출이 지연됨으로써 식이진행 어려움을 겪고 감염, 괴사성 장염 등의 위험도를 높이게 된다. 이에 본원에서 출생한 환아를 대상으로 meconium obstruction이 의심될 때 비수술적 치료에 대한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 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출생 직후 입원한 1,500g 미만 극소저체중 출생아에서 태변 배출 지연에 의한 장폐색 증상을 보인 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Meconium obstruction의 위험인자에 대한 검토 및 증상 시작 시기, 치료, 치료에 관련된 합병증, 치료후 식이 진행 과정, 결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Meconium obstruction으로 진단된 환아는 모두 23명으로 같은 기간 1,500gm 미만 환아의 13%를 차지 하였고, 진단 받는데 소요된 시간은 평균 6.9±4일이었다. 환아들의 평균 재태주령은 27.2±2.1주 이었으며 평균 몸무게는 766±162gm 이었다. 산모가 MgSO4를 사용하였던 경우는 12례(52%)이었으며 산모가 임신성 고혈압 혹은 전자간증으로 진단 받은 경우가 9례(39%)였다. 동맥관의 폐쇄에 어려움이 있어 수술적 치료까지 필요로 했던 경우에서 meconium obstruction으로 진단된 경우는 7례(30%)였으며, 도플러 초음파상 flow 이상 소견을 보여 분만한 경우가 2례(8.6%), 임신성 당뇨 산모는 2례(8.6%)였다. 그리고 알려진 위험인자를 가지지 않은 환아는 1례였다. noncontrast enema(glycerin, warmsaline)만으로도 증상이 호전된 경우가 6례(26%)이었고, 이에 호전을 보이지 않아 contrast enema(gastrografin, telebrix)를 시행한 후 증상이 호전된 경우는 12례(52%)였다. 따라서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된 경우가 전체의 18례(78%)였으며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가 5례(22%)이었다. 치료 도중 합병증은 장천공이 1례로 contrast enema중 발생하였다. 같은 기간내 NEC, sepsis로 식이 진행에 문제가 있었던 사례를 제외하고 비교적 문제 없이 식이 진행이 되었던 환아들이 full feeding에 도달하는데 평균 10.5±3.6일이 소요된 것에 비하여 본 환아들에서 치료 후 full feeding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8.5±10일(7~42일)이었고, 이중에서 비수술적 치료만으로 호전된 경우가 평균 14.2±5.6일(7~30일)로,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했던 경우(46.2±10.9일) 보다는 의미있게 짧았다. 전체 23 case중 NEC를 완전히 감별하기 힘들어 금식 및 항생제 치료를 병행하였던 경우도 12례(52%)였다. 결론: Meconium obstruction이 의심되는 환아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임상적 진단이 중요하며 적절하게 치료하면 비수술적 치료로도 많은 증례에서 증상 호전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위험인자가 있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임상적으로 조기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하다.

Keywords: meconium obstructio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 nonsurgical treatment